2017 | 10.21 |
- 추계학술대회에서 제 8대 회장에 원상화교수(극동대학교) - 부회장에 오승진교수(광주여자대학교) - 최애나교수(배재대학교) - 이모영교수(선문대학교)가 피선됨 |
---|---|---|
2014 | 05.17 |
- 춘계학술대회에서 제6대 회장에 이근매교수(평택대학교 미술치료학과) - 부회장에 오승진교수(광주여자대학교 미술치료학과) - 원상화교수(극동대학교 초등특수교육학과) - 최애나교수(배재대학교 심리철학과)가 피선됨 |
2012 | 06.09 | - 춘계학술대회에서 제5대 회장에 정광조 교수(대전대학교 예술치료학과) - 부회장에 이숙희 교수(중앙대학교 아동복지학과 - 오승진 교수(광주여자대학교 미술치료학과 - 원상화 교수(극동대학교 초등특수교육과) - 최애나 교수(배재대학교 심리철학과) - 박완용 교수(건양대학교 심리상담치료학과)가 피선됨 |
2010 | 05.29 | - 춘계학술대회에서 제4대 회장(2010. 5.29 ~ 2012. 5.31)에 정광조 교수(대전대학교 예술치료학과) - 부회장에 이숙희 교수(중앙대학교 아동복지학과) - 오승진 교수(광주여자 대학교 미술치료학과) - 원상화 교수(극동대학교 초등특수교육과)가 피선됨 |
2008 | 08.08 | - 연차총회에서 제3대 회장(08.8.10~10.7.31)에 조용태 교수(대진대학교 아동학과) - 부회장에 이숙희 교수(중앙대학교 아동복지학과), 원상화 교수(극동대학교 초등특수교육과) 가 피선됨. |
2006 | 08.10 | - 뉴스레터 발행(2012. 1, 2호) - 춘계학술대회 개최(2012. 4. 20, 서울) - 추계학술대회 개최(11월 9일, 서울) - 한국환경준설학회지 발행(2012. 12, 제2권) |
2004 | 07.01 | 창립총회 |
07.05 | 학회칙 제정, 시행 | |
07.25 | 초대회장에 김군자 교수(이화여자대학교 음악치료학과), 부회장에 정광조교수(대전대 예술치료학과), 이근매 교수(대전대학교 미술치료학과), 조용태 교수(대진대학교 아동학과)가 추대됨. |
전문가 연수회
2004년 | 11.13~11.14 | 제 1 회 예술심리치료전문가 연수회(대전대 보건스포츠대학원, 20시간: 23명) |
---|---|---|
2005년 | 02.23~02.24 | 제 2 회 예술심리치료전문가 연수회(대전대 보건스포츠대학원, 20시간: 21명) |
2008년 | 02.16~02.17 | 제 3회 예술심리치료전문가 연수회 (대진대학교 교수회관, 20시간: 18명) |
10.11~10.12 | 제 4회 예술심리치료전문가 연수회(푸른언덕, 20시간: 19명) | |
2009년 | 02.14~02.15 | 제 5회 전문가 연수회(푸른언덕, 20시간: 32명) |
06.13~06.14 | 제 6회 전문가 연수회(푸른언덕, 20시간: 35명) | |
11.27~11.28 | 제 7회 전문가 연수회(푸른언덕, 20시간: 28명) | |
2010년 | 03.20~03.21 | 제 8회 예술심리치료전문가 연수회 (푸른언덕, 20시간: 14 명) |
08.14~08.15 | 제 1회 예술심리치료사 심화과정 (대전대학교 둔산캠퍼스, 30시간: 19명) 주 제: The Philosophical Perspective of Art Therapy |
|
12.10~12.11 | 제 2회 예술심리치료사 심화과정 (대전대학교 둔산캠퍼스, 20시간: 19명) 주 제: 꼴라쥬 기법을 통한 예술심리치료사의 자기이해 |
|
2011년 | 03.12~03.13 | 제3회 예술심리치료사 심화과정 (대전대학교 둔산캠퍼스, 20시간: 18명) 주 제: 예술심리치료사의 역량강화를 위한 음악치료 |
06.25~06.26 | 제4회 예술심리치료사 심화과정 (대전대학교 둔산캠퍼스, 20시간: 32명) 주 제: 무용/동작중심의 표현예술치료 |
|
10.08~10.09 | 제5회 예술심리치료사 심화과정 (대전대학교 둔산캠퍼스, 20시간: 36명) 주 제: 별자리 심리학 |
|
12.10~12.11 | 제6회 예술심리치료사 심화과정 (대전대학교 둔산캠퍼스, 20시간: 32명) 주 제: 정신분석적 미술치료 |
|
2012년 | 04.14~04.15 | 제7회 예술심리치료사 심화과정 (대전대학교 둔산캠퍼스, 20시간: 27명) 주 제: 음악치료 워크샵 |
09.08~09.09 | 제8회 예술심리상담사 심화과정 (대전대학교 둔산캠퍼스, 20시간: 31명) 주 제: 1. 현대정신분석과 전이ㆍ역전이의 역동성 2. 예술심리치료에서의 매체의 활용 3. 삶으로의 움직임: 동작중심의 통합적 표현예술 |
|
12.08~12.09 | 제9회 예술심리상담사 심화과정 (대전대학교 둔산캠퍼스, 20시간: 28명) 주 제 : 만다라 미술치료 |
|
2013년 | 03.30~03.31 | 제10회 예술심리상담사 심화과정 (대전대학교 둔산캠퍼스, 20시간: 48명) 주 제 : 심리진단 및 평가 |
05.25~05.26 | 제11회 예술심리상담사 심화과정 (대전대학교 둔산캠퍼스, 20시간: 35명) 주 제 : 신체 은유기법을 이용한 통합예술치료 워크샵 |
|
10.26~10.27 | 제12회 예술심리상담사 심화과정 (대전대학교 둔산캠퍼스, 20시간: 23명) 주 제 : 몸과 심신치유 워크샵 |
|
2014년 | 03.29~03.30 | 제13회 예술심리상담사 심화과정(평택대학교, 20시간) 주제 : 만다라와 표현예술치료 |
06.21~06.22 | 제14회 예술심리상담사 심화과정(평택대학교, 20시간) 주제 : 상담자 소진 예방과 회복을 위한 예술심리치료 |
|
10.25~10.26 | 제15회 예술심리상담사 심화과정(평택대학교, 20시간) 주제 : 인문치료와 예술심리치료 |
|
2015년 | 09.19~09.20 | 제16회 예술심리상담사 심화과정(평택대학교, 20시간) 주제 : 명화로 보는 심리와 예술심리치료에서의 역할 |
2016년 | 03.25~03.26 | 제17회 예술심리상담사 심화과정(평택대학교, 20시간) 주제 : 심리운동에 기반 한 예술심리치료 |
05.28~05.29 | 제18회 예술심리상담사 심화과정(평택대학교, 20시간) 주제 : 예술심리치료에서의 단일대상연구와 자료분석방법 |
|
09.23~09.24 | 예술심리상담사 심화과정(평택대학교, 20시간) 주제 : 콜라주 기법을 활용한 예술심리치료 |
|
12.16~12.17 | 예술심리상담사 심화과정(평택대학교, 20시간) 주제 : 질적연구 개관 및 내러티브 탐구의 이해와 실제(논문작성) |
|
2017년 | 03.24~03.25 | 제21회 예술심리상담사 심화과정(평택대학교, 20시간) 주제 : 사례개념화와 수퍼바이저의 역할 |
09.22~09.23 | 제22회 예술심리상담사 심화과정 |
연수회
2005년 | 07.25~07.28 | 제 1회 예술심리치료 연수회 개최(대전대학교 둔산캠퍼스, 40시간: 93명) |
---|---|---|
2006년 | 01.04~01.07 | 제 2회 예술심리치료 연수회 개최(대전보건대학, 40시간: 94명) |
08.07~08.10 | 제 3회 예술심리치료 연수회 개최(대전대학교, 40시간, 41명) | |
2007년 | 01.03~01.06 | 제 4회 예술심리치료 연수회 개최(대진대학교 사회과학대학, 40시간, 103명) |
07.18~07.21 | 제 5회 예술심리치료 연수회 개최(대진대학교 사회과학대학, 40시간, 123명) | |
2008년 | 01.02~01.05 | 제 6회 예술심리치료 연수회 개최(대진대학교 사회과학관, 40시간, 121명) |
08.05~08.08 | 제 7회 예술심리치료 연수회 개최(중앙대학교 법학관, 40시간, 117명) | |
2009년 | 01.12~01.15 | 제 8회 예술심리치료 연수회 개최(대진대학교 사회과학관, 40시간, 134명) |
07.22~07.25 | 제 9회 예술심리치료 연수회 개최 (대진대학교 사회과학관, 40시간: 159명) | |
2010년 | 01.05~01.08 | 제 10회 예술심리치료 연수회 개최 (대진대학교 사회과학관, 40시간: 167명) |
08.04~08.07 |
제 11회 예술심리치료 연수회 개최 (대전대학교 둔산캠퍼스, 40시간: 122명) 주 제: 예술치료의 이론과 실제Ⅰ- 심리상담과 예술심리치료 |
|
2011년 | 01.12~01.15 |
제 12회 예술심리치료 연수회 개최 (대전대학교 둔산캠퍼스, 40시간: 91명) 주 제: 대상별 예술심리치료 |
08.03~08.06 |
제13회 예술심리치료 연수회 (대전대학교 둔산캠퍼스, 40시간: 126명) 주제: 예술심리치료의 진단 및 평가 |
|
2012년 | 01.16~01.19 |
제14회 예술심리치료 연수회 (대전대학교 둔산캠퍼스, 40시간: 86명) 주제: 정신병리와 예술심리치료 |
07.25~07.28 |
제15회 예술심리치료 연수회 (대전대학교 둔산캠퍼스, 40시간: 91명) 주제: 예술치료의 이론과 실제Ⅰ- 심리상담과 예술심리치료 |
|
2013년 | 01.02~01.05 |
제16회 예술심리치료 연수회 (대전대학교 둔산캠퍼스, 40시간: 94명) 주제: 예술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Ⅱ - 대상별 예술심리치료 |
07.31~08.03 |
제17회 예술심리치료 연수회 (대전대학교 둔산캠퍼스, 40시간: 100명) 주제: 예술심리치료에서의 심리진단 및 평가 |
|
2014년 | 01.02~01.05 |
제18회 예술심리치료 연수회 (대전대학교 둔산캠퍼스, 40시간: 84명) 주제: 정신건강과 예술심리치료 |
08.20~08.23 |
제19회 예술심리상담사 연수회(평택대학교, 40시간) 주제 : 예술심리치료에서의 진단과 평가 |
|
2015년 | 01.05~01.08 |
제20회 예술심리상담사 연수회(평택대학교, 40시간) 주제 : 예술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|
07.29~08.01 |
제21회 예술심리상담사 연수회(평택대학교, 40시간) 주제 : 정신병리의 이해와 예술심리치료 |
|
2016년 | 01.06~01.09 |
제22회 예술심리상담사 연수회(평택대학교, 40시간) 주제 : 대상별 예술심리치료 |
07.27~07.30 |
제23회 예술심리상담사 연수회(평택대학교, 40시간) 주제 : 예술심리치료에서의 진단과 평가 |
|
2017년 | 01.11~01.14 |
제24회 예술심리상담사 연수회(평택대학교, 40시간) 주제 : 예술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|
04.08 | 제37회 월례세미나(사례발표회) |
|
2018년 | 01.10~01.13 | 제26회 기본연수회 |
예술심리상담사
2005년 | 08.22 | 제 1회 예술심리치료사 자격면접(전문가-20명, 1급-26명 응시) |
---|---|---|
2006년 | 02.23 | 제 2회 예술심리치료사 자격면접(전문가-3명, 1급-31명, 2급 16명 응시) |
09.16 | 제 3회 예술심리치료사 자격면접(전문가-8명, 1급-6명 응시) | |
2007년 | 03.17 | 제 4회 예술심리치료사 자격면접(전문가-2명, 1급-7명, 2급-4명 응시) |
09.15 | 제 5회 예술심리치료사 자격면접(전문가-2명, 1급-49명, 2급-9명 응시) | |
2008년 | 02.23 | 제 6회 예술심리치료사자격면접(전문가-12명 응시, 1급-33명 응시, 2급-14명 응시) |
08.23 | 제 7회 예술심리치료사자격면접(전문가-1명 응시, 1급-8명 응시, 2급-3명 응시) | |
2009년 | 02.21 | 제 8회 예술심리치료사자격면접(전문가-9명 응시, 1급-17명 응시, 2급-5명 응시) |
08.22 | 제 9회 예술심리치료사 자격면접(전문가-8명, 1급-37명, 2급-16명 응시) | |
2010년 | 02.27 | 제 10회 예술심리치료사 자격면접(전문가-35명, 1급- 38명, 2급- 38명 응시) |
09.05 |
제 11회 예술심리치료사 자격면접(전문가- 6명, 2급- 4명 응시) 제 1회 자격유지 (전문가-1명, 1급- 3명) |
|
2011년 | 02.26 |
제12회 예술심리치료사 자격면접 (전문가 1명, 1급 3명, 2급 14명 응시) 제 2회 자격유지 (전문가- 4명, 1급- 4명) |
08.24 |
제13회 예술심리치료사 자격면접 (전문가 8명, 1급 7명, 2급 5명 응시) 제 3회 자격유지 (전문가- 1명, 1급 1명) |
|
2012년 | 02.25 |
제14회 예술심리치료사 자격면접 (전문가-5명, 1급-9명, 2급-10명) 제 4회 자격유지 (1급- 4명, 2급- 5명) |
08.25 |
제15회 예술심리상담사 자격면접 (전문가-1명, 1급-4명, 2급-12명) 제 5회 자격유지 (1급-3명, 2급-3명) |
|
2013년 | 02.23 |
제16회 예술심리상담사 자격면접 (전문가-3명, 1급-16명, 2급-3명) 제 6회 자격유지 (전문가-1명, 1급-2명, 2급-2명) |
08.24 |
제17회 예술심리상담사 자격면접 (전문가-3명, 1급-9명, 2급-19명) 제 7회 자격유지 (2급-1명) |
|
2014년 | 02.15 |
제18회 예술심리상담사 자격면접 (전문가-1명, 1급-29명, 2급-16명) 제 8회 자격유지 (1급-1명) |
08.20~08.23 |
제19회 예술심리상담사 자격면접 제 9회 자격유지 |
|
2015년 | 01.08 |
제20회 예술심리상담사 자격면접 제 10회 자격유지 |
08.29 |
제21회 예술심리상담사 자격면접 제11회 자격유지 |
|
2016년 | 03.05 |
제22회 예술심리상담사 자격면접 제12회 자격유지 |
08.27 |
제23회 예술심리상담사 자격면접 제13회 자격유지 |
|
2017년 | 01.14 |
제24회 예술심리상담사 자격면접 제14회 자격유지 |
01.21 | 제24회 자격면접 | |
07.29 | 제25회 자격시험 | |
08.26 | 제25회 자격면접 | |
2018 | 01.13 | 제24회 자격시험 |
학술대회
2008년 | 04.19 | 2008년도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춘계학술대회 개최(용산역 5층 대회의실, 10시간: 127명) |
---|---|---|
11.08 | 2008년도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추계학술대회 개최(중앙대학교 대학원, 10시간: 150명) | |
2009년 | 04.25 | 2009년도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춘계학술대회 개최(중앙대학교 대학원, 10시간: 180명) |
2010년 | 05.29 | 2010년도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춘계학술대회 개최(대전대학교 둔산캠퍼스, 10시간: 152 명) |
11.13 |
2010년도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추계학술대회 개최(대전대학교 둔산캠퍼스, 10시간: 160 명) 주 제: 뇌과학과 예술치료 |
|
2011년 | 05.28 |
2011년도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춘계학술대회 개최 (대전대학교 둔산캠퍼스, 10시간: 121명) 주 제: 전통문화와 예술심리치료 |
11.12 |
2011년도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추계학술대회 (대전대학교 둔산캠퍼스, 10시간: 119명) 주 제: 현대인의 정신건강과 예술심리치료 |
|
2012 | 06.09 |
2012년도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춘계학술대회 (대전대학교 둔산캠퍼스, 10시간: 164명) 주 제: 프로이드와 예술심리치료 |
11.03 |
2012년도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춘계학술대회 (대전대학교 둔산캠퍼스, 10시간: 164명) 주 제: 프로이드와 예술심리치료 |
|
2013 | 06.15 |
2013년도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춘계학술대회 (대전대학교 둔산캠퍼스, 10시간:162명) 주 제: 게슈탈트와 예술심리치료 |
11.09 |
2013년도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추계학술대회 (대전대학교 둔산캠퍼스, 10시간:108명) 주 제: 예술매체를 활용한 심신치료 |
|
2014 | 05.17 |
2014년도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ㆍ한국학습상담학회 춘계학술대회(평택대학교, 10시간) 주제 : 중도탈락 학생을 위한 학습상담과 예술심리치료 |
11.15 |
2014년도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추계학술대회(평택대학교, 10시간) 주제 :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(PTSD)와 예술심리치료 |
|
2015 | 05.16 |
2015년도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춘계학술대회(평택대학교, 10시간) 주제 : 우울증과 예술심리치료 |
10.24 |
2015년도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추계학술대회(평택대학교, 10시간) 주제 : NCS 기반 예술심리치료사 양성방안 |
|
2016 | 05.07 | 2016년도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춘계학술대회(평택대학교, 10시간) 주제 : 생애주기별 학습과 예술심리치료 |
10.22 | 2016년도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추계학술대회(평택대학교, 10시간) 주제 : 고령화 시대 삶의 질과 예술심리치료 |
|
2017 | 05.13 |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|
10.21 |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|